이리역 폭발사고 30주년 추모행사 모습.
익산시가 오는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 40주년을 맞아 희생자들을 기리는 40주기 추모행사를 추진하는 가운데, 당시 사고의 도의적 책임이 있는 코레일이 오히려 이를 외면하면서 시민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다.
1977년 11월 11일 오후 9시께 전북 이리시 (현 익산시) 이리역 구내에서 다이너마이트와 전기뇌관 등을 싣고 정차 중인 화물차 1량이 폭발한 사고로 59명이 사망하고 1천343명이 부상했으며, 이재민도 7천여명이나 발생했다.
이처럼 막대한 피해를 낸 이리역 폭발사고는 우리나라 철도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됐다.
이에 익산시는 이리역 폭발사고 40주기를 맞아 1억 원의 예산을 들여 다가오는 11월 11일 익산역 광장에서 추모행사를 연다.
추모행사는 '치유 40년, 미래 40년!'를 주제로 희생자를 기리는 헌화, 추모식, 추모공연과 함께 익산시 40년 비전 선포식, 폭발사고 현장과 익산 발전상을 보여주는 사진전 등도 열 계획이다.
이날 추모행사에 익산시는 피해 유가족과 시민을 초청해 폭발사고 당시 이리역과 인접한 삼남극장에서 공연하다가 사고를 경험한 가수 하춘화씨의 공연도 기획하고 있다.
하지만, 이리역 폭발사고에 도의적 책임이 있는 당사자들은 이날 추모행사에 동참하지 않으면서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이리역 폭발사고의 한 당사자로서 도의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익산시민과 함께 성장하며 막대한 매출을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익산시민을 위한 사회공헌에는 외면하거나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기때문.
실제 코레일과 익산역은 이번 추모행사에 역광장 일부만 장소로 제공한 채 추모행사를 위한 예산은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서도 코레일은 익산시민의 여망을 담은 평화의 소녀상 건립(익산역 광장)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다 정치권이 압박하자 마지못해 승인하는 태도를 보인 바 있다.
익산의 한 시민단체는 “코레일, 익산역, 한화 등은 당시 이리역 폭발사고의 당사자들로서 무한한 도의적 책임이 있고, 그런 당사자들이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행사마저 외면한다면 결국 익산시민들도 그들을 외면하게 될 것이다”고 지적하며 “아픈 상처를 치유하고 미래비전과 시의 발전을 위한 행사인 만큼 당사자는 물론 모든 시민이 함께하는 추모제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측 관계자는 “익산시가 추진하는 행사 당일에는 코레일 심포니오케스트라 등이 동참하지 못할 것 같다”며 “유가족의 아픔을 달래고 시민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