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시외버스 노선과 운행횟수를 대책 없이 감축하는 등 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불편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대중 도의원(익산 1)은 제418회 임시회 5분 발언에서 도내 시외버스 보조금 집행과 관련하여 대책없이 노선과 운행횟수를 감축한 전북도의 무책임한 교통행정을 질타했다.
김 의원은 “현재, 도내 5개 시외버스업체가 운행하는 차량은 지난 2019년에 비해 100여대가 줄었고, 노선수 역시 코로나가 가장 심각할 때와 유사한 수준인 40개가 줄었다. 또한 노선은 살아있더라도 운행횟수가 무려 276회가 줄어든 상태다. 그럼에도 전북자치도가 시외버스 비수익노선 등에 주고 있는 도비 보조금은 매년 유사한 수준인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종식 이후 2년 여가 지난 지금까지 시외를 오가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인 시외버스 노선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재운행되지 못하고 있어 도민들의 불편이 극심해지고 있다.
또한 김의원은 “상황이 이러한데도 전북자치도 교통행정이 내놓은 대책이라고는 시외버스업체가 경영난을 이유로 요구하는 비수익노선 휴업신청을 최소한으로 승인해주고 있는 것이 전부다. 이것은 대책이 아니라 회피며 방관이다. 도민과 시외버스업체 둘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전형적인 소극행정이자 탁상행정”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특히 김의원은 명실상부 호남 교통의 요지인 익산의 경우에도 익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대전복합터미널로 가는 버스가 단 한 대도 없고, 수도권 주요도시인 안양, 부천 노선도 코로나 이후 수년째 갈길이 끊어진 상태라며 익산에서 주요도시로 오가는 노선 복원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밖에도 김의원은 시외버스 노선 감축은 단순히 시외버스 업체가 돈되는 노선 위주로 운행함으로써 업체손해를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도민 교통편의를 침해하고 시외버스터미널의 경영악화를 연쇄적으로 초래한다는 면에서 반드시 철저하고 세심한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며, 노선의 개편과 확충, 버스업체들의 자구적인 경영 개선 노력, 서비스 질의 획기적인 개선을 촉구했다.